관리 메뉴

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

객체 지향의 특징 본문

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/👩‍💻 CS

객체 지향의 특징

잔뜩 2023. 10. 9. 18:05

추상화

캡슐화

상속

다형성 ( 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 )

 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독립된 단위, 즉 "객체"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.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 를 주고받고,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. (협력)

 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
트웨어 개발에 많이 사용된다.

 

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다? 이게 뭘까

 

 

키보드, 마우스 갈아 끼우듯이 컴포넌트를 쉽고 유연하게 변경하면서 개발할 수 있는 방법

 

다형성의 실세계 비유
예시
• 운전자 - 자동차
• 공연 무대
• 키보드, 마우스, 세상의 표준 인터페이스들
• 정렬 알고리즘
• 할인 정책 로직

 

역할과 구현으로 구분하면 세상이 단순해지고, 유연해지며 변경도 편리해진다.
• 장점
• 클라이언트는 대상의 역할(인터페이스)만 알면 된다. 
• 클라이언트는 구현 대상의 내부 구조를 몰라도 된다.
• 클라이언트는 구현 대상의 내부 구조가 변경되어도 영향을 받지 않는다.
• 클라이언트는 구현 대상 자체를 변경해도 영향을 받지 않는다.

 

자바 언어의 다형성을 활용
• 역할 = 인터페이스
• 구현 = 인터페이스를 구현한 클래스, 구현 객체
• 객체를 설계할 때 역할과 구현을 명확히 분리
• 객체 설계시 역할(인터페이스)을 먼저 부여하고, 그 역할을 수행하는 구현 객체 만들기

 

다형성의 본질
• 인터페이스를 구현한 객체 인스턴스를 실행 시점에 유연하게 변경할 수 있다.
• 다형성의 본질을 이해하려면 협력이라는 객체사이의 관계에서 시작해야함
• 클라이언트를 변경하지 않고, 서버의 구현 기능을 유연하게 변경할 수 있다.

 

역할과 구현을 분리
정리
• 실세계의 역할과 구현이라는 편리한 컨셉을 다형성을 통해 객체 세상으로 가져올 수 있음
• 유연하고, 변경이 용이
• 확장 가능한 설계
• 클라이언트에 영향을 주지 않는 변경 가능
• 인터페이스를 안정적으로 잘 설계하는 것이 중요

 

스프링과 객체 지향
• 다형성이 가장 중요하다!
• 스프링은 다형성을 극대화해서 이용할 수 있게 도와준다.
• 스프링에서 이야기하는 제어의 역전(IoC), 의존관계 주입(DI)은 다형성을 활용해서 역할과
구현을 편리하게 다룰 수 있도록 지원한다.
• 스프링을 사용하면 마치 레고 블럭 조립하듯이! 공연 무대의 배우를 선택하듯이! 구현을 편
리하게 변경할 수 있다

728x90

'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> 👩‍💻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도커 docker  (0) 2023.10.10
Enum 클래스  (0) 2023.10.09
flyway 란?  (1) 2023.10.06
Nexus Repository(넥서스 리포지토리)란?  (1) 2023.10.05
젠킨스란?  (1) 2023.10.04